요즘 반응형 웹을 만들면서 em과 rem을 배운 지식들을 포스팅해 볼 것입니다. 📌 em과 rem을 사용하는 이유 사용자가 임의로 브라우저의 폰트 크기를 변경했을 때, 그 설정에 맞게 웹의 폰트 크기도 변해야 합니다. 그러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em과 rem입니다. (px은 크기가 고정적이라서 저는 반응형 웹을 만들 때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.) (폰트 크기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크기를 변경할 때 다 사용 가능합니다.) 📌 em이란 부모의 폰트 크기에 영향을 받는 것이 em입니다. 예를 들어, 부모의 폰트 크기가 16px입니다. 이때 자식 폰트에 2em을 사용하면 16 * 2 = 32px이 됩니다. 가나다라1 가나다라2 가나다라3 📌 rem 이란 브라우저 폰트 크기에만 영향을 받는 것이 rem입니다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