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List에서 사용되는 메서드
1. array이름.append(n)
- () 안에 값을 넣으면 리스트 마지막에 값이 들어갑니다.
2. d[a[1]] += 1
- a[1] = 9 라면, d[9] += 1이 된다.
List를 거꾸로 출력하고 싶을 때
- n: 횟수, a: 값이 들어가 있는 리스트
1. for문을 사용한다.

- 'n-1' : list의 마지막 index는 '전체 횟수-1' 입니다.
- -1 : for문에서 조건식은 +1 되므로 0까지 반복하는 의미입니다.
- -1 : 증감식입니다. -1만큼 작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.
2. 만약 올바르게 출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
- range에서 초기값과 증감식을 생략하면 0과 +1이 디폴트입니다.
728x90
'코딩테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입출력 문제 - map 함수 (Python) (0) | 2023.11.17 |
---|---|
JS를 활용한 코딩테스트에서 기억할 것들 (0) | 2023.08.31 |
sorted와 lambda 활용 (0) | 2022.02.13 |
Python 조건문 (0) | 2022.02.01 |
Python 삼항연산자 (0) | 2022.02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