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처 : 드림코딩 by 엘리 - 깃, 깃허브 제대로 배우기 (유튜브)
사용하는 툴
1. Git bash
2. Sourcetree
- Sourcetree 다운 방법 : https://uxgjs.tistory.com/181
Git 설정 (Git bash에서 작업)
1. git --version 입력하기
- 자신의 컴퓨터에 잘 설치가 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.
- 만약 다운로드가 되지 않았다면, 여기서 다운로드하기! https://git-scm.com/download/win
2. git --config --list
- Git에서 설정한 값을 다 볼 수 있는 명령어. 마지막에 email과 본인의 이름이 잘 나오는지 확인해보세요.
3. git --config --global -e
- 파일로 Git을 열어서 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나는 Text Edit으로 열어보고 싶어. 라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.
4. code .
- Visual Studio를 사용한다면, 이 명령어를 입력하고 바로 Visual Studio가 켜집니다.
- 운영체제마다 설정하는 법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에게 맞는 것으로 설정하기.
(window는 https://dev-youngjun.tistory.com/ 이거 따라 하면 됩니다.)
5. git config --global core.editor "code --wait"
- 이것을 하면 이 명령어가 끝나기 전까지 다른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
- visual에서 켜진 것을 끄면 다시 명령문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.
6. 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true
- 맥을 사용한다면, true를 input으로 바꿔주세요.
- 이것은 운영체제마다 줄 바꿈을 할 때 들어가는 게 달라져서 windows를 사용하면 의도치 않게 줄 바꿈이 된다거나 그런 에러를 막기 위해 사용합니다.
Git을 공부하는 방법
- Git의 명령어를 이해하고, 사용하는 연습을 할 것이고,
- 자주 사용되는 옵션을 사용하고 익숙해질 겁니다.
- 어떤 명령어가 사용되는지 보고 싶다면, https://git-scm.com/docs 여기서 공부하기!
자주 사용되는 Git 명령어
1. mkdir 폴더명
- 폴더를 만들 수 있습니다.
2. ls -al
- 해당 폴더 안에 자료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total : n로 나옵니다.
3. git init
- git을 초기화시키는 것. 이러면 해당 폴더에 .git이 생성됩니다.
4. start .git
- 맥이라면 open .git 을 입력해서 해당 폴더 안에 뭐가 들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그리고 경로 뒤에 (master)이 붙습니다.
5. rm -rf .git
- .git을 삭제해주는 명령어.
- 경로 뒤에 (master)가 붙어있지 않고, 잘 처리되었다는 의미입니다.
6. git config --global alias.st status
- git status를 git st로 단축할 수 있습니다.
7. git branch -m main
- branch를 main으로 바꾸는 명령어입니다.
이제 Git으로 멋진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자! (다 이해하기 쉽도록 text 파일로 실습했습니다.)
1. echo hello worldl! > a.txt
- hello world!!라는 문자열을 a.txt 에 저장합니다.
- 꿀팁!!! 화살표로 위, 아래 움직이면 전에 사용했던 명령어가 자동으로 완성됩니다.
2. git status
- 저렇게 추가를 하고 나서 상태를 확인하면 빨간색으로 untrakcked 되었다고 알려줍니다.
- 이때 git add를 사용하면 됩니다.
3. git add a.txt
- add를 해주면 commit 할 준비가 되었다고 나오고,
- 이때 폴더 안에 많은 파일이 있다면 *로 이름을 바꿔주면 한 번에 add 됩니다.
4. echo lion >> a.txt
- a.txt에 lion이라는 문자열을 추가하면 다시 add를 하라고 알려줍니다.
5. git rm --cached *
- add 된 파일을 다시 꺼내오는 명령어입니다.
다양한 종류의 파일이 있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를 알아볼 것입니다.
style.css 과 log.log 파일이 있을 때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.
1. echo styling > style.css 하고 echo log > log.log를 한다음 git status 해봅시다.
- style.css와 log.log 를 add 하라고 알려줍니다.
2. git add *.css
- css인 파일들만 add 한다는 의미입니다.
3. echo *.log > .gitignore
- log 파일을 gitignore 이라는 폴더 안에 넣어서 보관하는 명령어입니다.
- .gitignore 이라는 폴더는 숨겨진 폴더라서 add 하고 싶지 않은 파일을 모아서 보관하면 됩니다.
이렇게 폴더를 마음에 들 때까지 고친 다음 이제 괜찮다 싶으면 commit을 하면 됩니다.
1. git commit
- 아무런 옵션 없이 사용하면 기본적인 template이 나옵니다. (이렇게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.)
- 보통 Title을 작성하고, 상세한 설명(Description)을 작성해서 저장을 하면 바로 commit이 됩니다.
2. git log
- commit을 한 다음에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.
- commit history를 볼 수 있습니다.
3. git commit -m "second commit"
- second commit이라는 메시지를 가지고 commit을 합니다.
4. git commit -a -m "third commit"
- -a는 add를 하지 않은 모든 파일까지 다 포함해서 third commit이라는 메시지를 가지고 commit이 됩니다.
이번에는 얼마만큼의 규모로 commit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볼 것입니다.
history는 우리가 만든 것을 하나하나 다른 서버로 저장을 해놓는 유용한 창고라고 볼 수 있습니다.
그래서 완벽하게 만들어진 프로젝트 하나를 올리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.
따라서 프로젝트를 올릴 때 기능별로, 작은 단위로 올려야 합니다.
1. 의미 있는 이름으로 commit을 해야 합니다.
- commit1, commit2는 절대 안 됩니다.
- 내가 무엇을 올렸는지 상대방도 정확하게 알기 위해 이름을 지정해서 넣어줘야 합니다.
ex) Add LoginService module, Add Welcome page, Add ....
2. commit의 이름은 동사로 시작합니다.
- Add, Fix
3. 이때 crashing이라는 걸 고치고 있는데 다른 것도 같이 고치면 안 됩니다.
- 같이 협업하는 사람들이 있다면, 이름에 해당하는 것만 고치고 다른 commit으로 그것을 고치면 됩니다.
'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md창에서 D드라이브로 이동하기 (0) | 2022.02.08 |
---|---|
소개글(Read me) 작성법 (0) | 2022.02.02 |
fatal: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 에러 해결하기 (0) | 2022.02.01 |
GitHub에 폴더 올리기 (0) | 2022.01.31 |
Git 에 내 프로젝트 올리는 방법 (0) | 2022.01.29 |